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경기는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며 주기적으로 순환한다(회복기-활황기-후퇴기-침체기)

경제

by Issue Focus 2022. 1. 29. 18:34

본문

반응형

경제 현상은 어떤 경직된 상태를 지속하는 경우는 드물고, 항상 쉼과 움직임을 반복하는 운동을 한다. 평균적인 경제활동 수준보다 훨씬 더 활기 있는 생산과 지출로 경제가 호황을 누리는가 하면, 평균 수준보다 훨씬 밑도는 불경기를 경험하기도 한다.

 

경기순환
일반적으로 한 나라의 경제는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며 장기적으로 성장한다.


호경기가 오랫동안 진행되다 보면 어느 순간 불경기로 돌아서고, 불경기가 한참 진행되다 보면 경제가 회복돼 호경기로 들어서곤 한다. 이처럼 경제활동이 상당한 규칙성을 보이며 확장국면과 수축국면을 반복하는 현상을 '경기순환'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경기는 시장경제 체제하에서 시장의 시황을 가리키지만, 경기순환에서 경기란 경제 전체 수준의 생산과 소비의 상황을 지칭하기도 한다.

경기순환은 우리나라에서만 국한돼 있는 게 아니다.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자유시장경제가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한 이후, 시장경제가 주축이 되는 현대 혼합 자본주의에 이르기까지 모든 자본주의 국가들이 경기순환을 경험했다. 지금의 한국 경제도 회복기, 활황기, 후퇴기, 침체기의 경기순환과정 중 어딘가를 지나고 있는 것이다.

경기순환은 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경기순환은 반복적이고 비주기적이다. 경기의 확장과 수축이 번갈아 일어난다는 점에서 반복적이지만 경기순환마다 주기와 진폭이 다르다는 점에서 비주기적이다. 둘째, 경기순환은 지속적이다. 경기 후퇴가 일단 시작되면 오랜 기간 경기는 더 나빠지고, 일단 경기가 확장되기 시작하면 상당 기간 지속해서 더 좋아진다. 셋째, 경기순환은 비대칭적이다. 일반적으로 확장국면이 수축국면보다 길게 나타난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